1) 을사사화와 한림공 사건 |
을사사화는 1545년 왕실의 외척(外戚)인 대윤(大尹)과 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다.
기묘사화 이후 조광조 일파가 몰락하여 사림이 침체된 시기, 중종의 사돈이 된김안로(金安老)가 권력을 남용하자, 기묘사화로 권력을 잡은 바 있던 남곤, 심정 일파에 의해 탄핵되어 경기도 풍덕(豊德)에 유배되었다. 그러자 김안로는 귀양지에서 대사간을 움직여 심정이 유배 중인 경빈박씨(敬嬪朴氏)를 왕비로 책립할 음모를 꾸몄다고 탄핵해 심정을 귀양보냈다. 이로써 반대파를 제거하고 정권을 잡는 데 성공한 김안로 일파는 허항(許沆), 채무택(蔡無擇) 등과 결탁해 권세를 누리면서, 뜻에 맞지 않는 사람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몰아내겠다고 위협해 조정을 공포에 떨게 했다.
당시 중종(中宗)은 첫째 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 윤씨에게서 인종(仁宗)을 낳고, 둘째 계비 문정왕후(文定王后) 윤씨에게서 명종(明宗)을 낳았는데, 첫째 계비인 장경왕후의 아우 윤임(尹任)을 대윤(大尹)이라 하고 둘째 계비인 문정황후의 아우 윤원형(尹元衡)을 소윤(小尹)이라 하였다. 이들의 득세와 반목(反目) 대결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고 귀양을 가는 등 큰 사화(士禍)가 일어났으니 이것이 을사사화이다.
기묘사화로 김안로가 실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권 쟁탈전은 권신에서 외척으로 옮겨가 계속되었다. 중종비 신씨는 즉위 직후 폐위되어 후사가 없었고, 제1계비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尹氏: 윤여필의 딸)는 세자 호(岵: 뒤의 인종)를 낳은뒤 죽었다. 그 뒤 왕비 책봉 문제로 조신간의 일대 논란이 벌어졌으나, 1517년(중종12)에 윤지임(尹之任)의 딸이 제2계비 문정왕후로 책립되어 경원대군(慶源大君:뒤의 명종)을 출산하였다.
이에 문정왕후의 형제인 윤원로(尹元老)․v윤원형(尹元衡)이 경원대군을 세자로 책봉하려 꾀하면서 세자의 외숙인 윤임(尹任: 장경왕후의 아우)과 본격적인 대립․알력이 시작되었다. 윤임 일파를 대윤, 윤원형 형제 일파를 소윤이라고 했는데, 이로써 조신과 사림은 서로 갈리게 되고 외척을 중심으로 궁정 내부의 갈등이 촉발되면서 정계가 양분되었다. 그러던 중 중종이 승하하고 인종이 왕위에 오르자, 외척인 윤임을 중심으로 하는 대윤파가 득세하였다.
인종은 유관(柳灌)․ 이언적(李彦迪) 등 사림의 명사를 신임하고 이조판서 유인숙(柳仁淑)은 자파의 사림을 많이 등용하였다. 이 결과 사림은 기묘사화 이후 다시 정권에 참여하게 되었으나, 정권에 참여하지 못한 일부 사림들은 소윤파에 가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인종이 병을 얻어 재위 8개월 만에 승하하고 인종의 뒤를 이은 12세의 명종을 대신해 모후인 문정왕후가 수렴정치를 하게 되자 정권은 소윤파인 윤원형에게로 넘어갔다.
윤원로가 윤임이 경원대군을 해치려 하였다고 무고했다가 대윤파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어 유배된 가운데, 윤원형은 윤임 및 그 일파인 영의정 유관․ 유인숙 등과그 배경을 이루는 사림을 배제하기 위해 평소 이들에게 원한을 가진 정순붕(鄭順朋),이기(李芑,임백령(林百齡),허자(許磁) 등을 심복으로 삼아 대윤 일파가 윤임의 외조카인 계림군(桂林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한편 자신의 첩 난정(蘭貞)으로 하여금 문정대비에게 대윤 일파가 역모를 꾀하고 있다고 무고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윤 일파는 역모죄로 몰려 계림군(桂林君)과 윤임(尹任), 유관(柳灌), 유인숙(柳仁淑), 김명윤(金明胤), 이덕응(李德應), 이휘(李輝), 나숙(羅淑), 나식(羅湜), 정희등(鄭希登), 박광우(朴光佑), 곽순(郭珣), 이중열(李中悅), 이문건(李文楗) 등을 비롯해 많은 이들이 처형되어 하루아침에 몰락하였다. 이 무고사건으로 빚어진 옥사를 을사사화라 한다.
을사사화의 여파는 이에 그치지 않아 이후에도 문정대비의 수렴정치와 이기 등 의 농간을 비난하는 벽보가 나붙은 사건(1547)을 계기로 윤원형의 형 윤원로와 대윤의 잔당으로서 지목된 이들이 죽거나 유배된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옥사를 정미사화라고 한다. 윤원형은 이러한 수법으로 사림과 자신의 반대파를 숙청함으로 써, 을사사화 이래 5, 6년간 비명횡사한 이들은 100여 명에 달하였다.
당시 우리 순흥안씨의 한림공(翰林公) 휘 명세(名世) 공은 시조공의 14세로서 1544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들어가 검열(檢閱)과 주서(注書)를 지내고 홍문관 정자(弘文館正字)인 사관으로 있었다.
안명세(安名世) 공은 을사사화의 자세한 전말을 있는 그대로 정직하게 시정기(時政記.당대 정무 행정의 실상과 잘잘못을 기록한 1차적 역사 기록물로서 실록을 편찬하는 기본 자료)에 적어 넣었는데, 여기에는 인종의 장례식 전에 윤임 등 3대신이 살해당한 것은 크나큰 불행이라는 지적과 함께 이기와 정순붕의 농간으로 무고한 많은 선비들이 처형당한 사실과 이를 찬반하던 선비들의 명단 등이 담겨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기는 자신들이 저지른 만행을 정당화하기 위해 무정보감(武定寶鑑)을 찬집했는데, 그 때 안명세공은 함께 사관으로 있었던 한지원(韓智源)이 안명세공이 쓴 시정기의 내용을 이기에게 밀고함으로써 체포되어 국문을 당하였다. 안명세공은 국문을 당하는 중에도 소신을 굽히지 않고 당당하게 이기, 정순붕의 죄악을 폭로하였고, 죽음 앞에서도 의연한 모습을 남겼다. 공께서는 문과에 급제한 후 불과 4년도 못 되어 말단직인 정8품에서 참화를 당하고 말았다.
이렇게 안명세 선조가 큰 화를 당하고,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우리 안문은 또한 수난의 길로 치닫게 되고 많은 선조들이 몸을 숨겨 낙향을 하게 되었다. 안명세 한림공(翰林公)은 그 후 1570년에 사면되어 통훈대부 홍문관직제학 지제교 겸 경연시강관 춘추편수관(通訓大夫弘文館直提學知製敎兼經筵侍講官春秋編修官)으로 증직되었다.
1565년 문정대비가 죽자 윤원형 일파는 몰락하고 말았으나 안명세는 1567년 선조가 즉위하면서 신원(伸寃)되어 직첩(職牒)을 다시 돌려받았다. 이후 을사사화로 인해 귀양 갔던 이들이 돌아오고 재야 신진사류가 많이 등용되면서 사림이 중앙정권을 차지함에 따라 1824년에 안명세를 모시는 계담서원(桂潭書院)이 세워졌다.
계담서원은 흥선대원군 때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기도 했으나, 1991년에 순흥안씨양도공파 종회에서 복원된 것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현재 계담서원에서는 문성공 안향(安珦), 문순공 이황(李滉), 문성공 이이(李珥), 문의공 안문개(安文凱), 문정공 안축(安軸), 문간공 안종원(安宗源), 문숙공 안숭선(安崇善), 문강공 이석형(李石亨), 문민공 김일손(金馹孫), 문민공 주세붕(周世鵬), 문강공 이지함(李之菡, 한림공 안명세(安名世), 사촌공 안덕린(安德麟), 세마공 안술(安述),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 일완 홍범식 (一阮 洪範植), 백범 김구(白凡 金九), 도명 연병호(圖明 延秉鎬) 등 18명현(名賢)을 배향하고 있다.
2) 안명세(安名世) |
안명세의 자는 경응(慶應)이며 본관은 순흥이다. 갑진년 과거에 올라 홍문관 저작(著作)이 되었다. 무신년 2월에 이기 등이 논계하기를 “일찍이 사관(史官)이 되어 유관․유인숙․윤임 등을 찬양하였는데, 죄준 것이 그 죄에 마땅하지 않다.” 하고, 역당으로 논하여 능지처참하고 처자는 종으로 만들었다.
공이 사초(史草)에 쓰기를 “중종대왕의 소상(小祥)이 지나지 않았고, 인종대왕은 아직 발인(發靷)하기 전인데, 주상께서 빈궁(殯宮)곁에서 세 대신을 죽였다.” 하였다. 또 바야흐로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게 되자, 이기 등이 역사서를 꺼내 보기를 청하였는데, 공이 이기의 죄악을 극히 사실대로 썼기 때문에, 이기가 크게 노하여 역당으로 몰아 극형에 처하였다. 죄목에는, “윤임들의 반역한 사실이 밝게 드러나서 의심이 없는데, 안명세는 당시의 사관으로서 은근히 역적을 옹호하여 칭찬한 말을 많이 기록하였고, 흉적(凶賊)의 공사(供辭)도 누락이 많았을 뿐 아니라, 도리어 조정을 그르다 하고 역적을 옳다고 하여, 만세에 전할 역사서가 부실하게 되어버렸으니, 지극히 흉악하고 참혹하도다. 마땅히 중한 법으로 처치할 일이다.” 하였다.
경오년에 삼공이 아뢰기를, “예로부터 사관이 죄를 입은 적이 없었으므로, 여론이 지금까지 원통히 여기니, 너그러운 용서를 받게 함이 마땅합니다.” 하여, 직첩과 적몰한 가산을 도로 주기를 명하고, 아들 천지(千之)․p백지(百之)에게 모두 벼슬을 주었다.
3) 안함(安香含) 전 |
안함의 자는 군회(君晦)이며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갑진년에 과거에 올랐다. 사사화에 초기에는 주서(注書)로서 녹공(錄功)되었다가, 윤흥인(尹興仁)의 처남인 까닭으로 공(功)을 깎이고 벼슬을 파면당하였다. 정미년에 신천(信川)으로 귀양갔으며, 그 아버지 안세형(安世亨)도 남원으로 귀양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