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과 제암리 사건

제암리(堤岩里)사건은 1919년 3․운동에 대한 일제의 보복 행위로 일본 군경이 수원군(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향남면 제암리에 사는 민간인 20여 명을 학살하고 민가 30여 호를 불태운 참변사건이다.

 

1919년 3월 31일 제암리에서 가까운 발안(發安) 장터에서는 장날을 기해서 약 1,000명의 군중이 모인 가운데, 태극기를 세워 놓고 독립 연설회를 게최한 후에,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장거리를 행진하였다. 그리고 일본인 소학교에 불을 지르고 독립 만세를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튿날인 4월 1일 밤, 주변 산봉우리 80여 곳에서 봉화를 올리고 만세를 불렀다. 때문에 그곳에 살고 있던 일본인 부녀자와 어린이는 조금 떨어져 있는 삼계리(三溪里)로 피신하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처럼 3월말을 전후로 만세 시위 운동이 맹렬히 일어나자, 일본군의 몇 개의 검거반이 파견되면서 3․운동에 대한 보복 행위가 시작되었다.

 

제암리에서는 만세운동이 일어나지 않고, 다만 마을 사람 중 몇 사람이 발안장터의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하였을 뿐이었다. 그런데 1919년 4월 15일(화요일) 오후, 일본군 보병 중위 아리다(有田俊夫)가 이끄는 보병 11명과 순사 2명이 제암리에 도착하여, 강연이 있다고 속여 기독교와 천도교 남자 신자 20여 명을 기독교 교회당에 강제로 모이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들은 돌연 출입문과 창문을 굳게 잠그고, 안에 있는 사람들을 총칼로 학살한 뒤, 증거를 남기지 않기 위해 교회당에 불을 질렀는데 불길이 5시간쯤 타올랐다. 이때 일본군은 불속에서 뛰쳐나오거나 길에 나왔다가 달아나는 사람에 대해 발포하거나 총검으로 찔러 죽였다.

 

이와 같은 사건으로 교회당 안에서 22명, 밖에서 6명 등 모두 28명이 살해되었다. 그리고 일본군경은 민가에 불을 질러 31호가 불타버렸다.

 

제암리 참변을 전해들은 미국 선교사이며 교육자인 언더우드(Underwood,H.H., 元漢慶)와 미국 영사관 직원 일행이 4월 16일 서울을 출발하여 그곳에 도착하였을 때, 생존자들은 먹을 것, 입을 것도 없이 겁에 질린 채 언덕 옆에 모여 있었고 살해된 시체와 불탄 집터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

 

언더우드는 현장에 모여 있는 생존자 일부를 만나 사건의 자세한 내용을 듣고서 참상을 확인하였다. 한편 4월 17일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이며 선교사인 영국인 스코필드(Schofield, F.W.)가 현장으로 달려가, 생생한 참상을 사진에 담고, 목격자의 증언을 수록한 〈수원에서의 잔악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미국으로 보냈다.

 

또 영국영사 로이드 등도 각기 학살 현장에 가서 사건의 진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후부터 침묵을 지켜오던 일본내의 영자 신문 『재팬 애드버타이저 JapanAdvertiser』와 『재팬 크로니클 Japan Chronicle』 등도 목격자의 증언까지 곁들이며, 사건을 상세히 보도하기 시작하였다.

 

또 일본기독교동맹은 뒤늦게나마 대표를 보내 참상을 조사하게 하였으며, 만행의 일단을 신문과 잡지에 실어 일본인의 반성을 촉구하였다. 그리고 제암리 현장을 직접 찾아본 일본인 영문학자 사이토(齋藤勇)는 『복음신보(福音新報)』에 〈어떤 살륙사건〉이라는 장편시를 발표하여 일본 군경의 만행에 대한 지식인의 통분을 읊기도 하였다.

 

한편 제암리 학살사건의 현장 지휘책임자인 보병 제79연대소속 아리다 중위에 대한 처벌은 행위가 직무 집행상 온당하였다는 이유로 덮어두려고 하였다가, 세계여론의 지탄을 받게 되자 7월 17일자로 군법회의에 붙여졌다. 그러나 처벌의 결과가 어떠하였는지는 뻔한 일이다.

 

1982년 9월 문화공보부의 민족수난현장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이 사건의 목격자이며 유일한 미망인인 전동례의 증언과 최응식의 도움을 받아 이 일대 1, 300평에 대한 유해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이 조사에서 희생자들이 가지고 있던 다이쇼8년명(大正八年銘) 1전짜리 동전, 호주머니칼, 인장통, 조끼단추, 마고자단추, 램프걸이, 구부러진 못, 불탄 숯, 화염병으로 사용되었던 기린맥주병 조각 등과 함께 여덟 군데에서 집중적으로 유해가 나타났다. 이들 유골 유족의 입회하에 모두 대형관에 입관되어 1982년 9월 29일, 사건시간인 오후 2시에 경기도 주관으로 합동장례식을 치르고 제암교회 뒤편에 마련된 합동묘지에 안장하였다. 그리고 순국선열로 추서, 이 주변을 사적 제299호로 지정하였다.

 

묘지의 남쪽에는 제암교회에 붙은 기념관이 있는데, 이 기념관 벽면에는 그 날의 참상을 그린 3폭의 기록화와 외국 언론사들의 보도내용이 있고, 유해발굴조사시의 사진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내부 진열대에는 유해발굴조사 시 출토되었던 유물들이 그대로 진열되어 그 날의 참상을 되새길 수 있는 역사적인 자료가 되고 있으며, 교회 입구에 기념비가 서 있다.

 

당시 희생당한 선열들은 다음과 같으며 이들 모두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안정욱 안종린 안종락 안종환 안종후 안진순 안봉순 안유순 안종화 안필순 안명순 안관순 안상용 조경칠 강태성 강태성부인김은희 홍원식 동부인 김씨 홍순진 김정헌 김덕용 김흥렬 김성렬 김세열 김주남 김주업 김흥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