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공파(都正公派)

파조는 9세 종렴(從廉)으로 4세인 문성공(文成公 諱 珦)의 5대손이며, 경질공(諱 瑗)의 4남이다. 벼슬은 돈녕부 도정을 지내셨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조의 개국을 부정하며 다음 대를 이을 왕위마저 뿌리치고 숨어버린 진안대군[芳雨]의 사위로 기록되어 있다.

 

mark.gif도정공파(都正公派)의 역사

 

1. 도정공파(都正公派)의 유래

도정공(都正公) 휘 종렴(宗廉)은 경질공(景質公) 휘 원(瑗)의 6남 중, 넷째로서 벼슬은 돈녕부 도정을 지내셨다.

 

도정공 휘 종렴공께서는 시조공으로부터 9세손으로 도정공파의 지파조가 되신다. 배위는 숙부인 영산문씨로 조고에는 기록되어 있으나,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조의 개국을 부정하며 다음 대를 이을 왕위마저 뿌리치고 숨어버린 진안대군[芳雨]의 사위로 기록되어 있다.

 

묘소는 실전하고 을해년 경북 상주시 공검면 중소리 기산 비조현에, 1936년 후손들이 단비(壇碑)를 세워 세사봉향(世祀奉享)하고 있다.

 

도정공파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자세하게 역사를 기술하지 못하는 것이 유감이다.

 

2. 도정공파의 상대(上代)

공의 고조 휘 우기(于器)께서는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순평군(順平君)에 봉해졌으며 시호가 문순공(文順公)이시다. 증조부 목(牧)께서는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순흥군(順興君)에 봉해졌으며 시호가 문숙공(文淑公)이다. 조부 원승(元崇)꺼서는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졌으며 시호가 문혜공(文惠公)이시다.

 

부친 경질공께서는 여조에 등제하여 벼슬이 공조전서(工曹典書)에 이르고 공양왕(恭讓王) 2년(1390)에 천도(遷都)하고자 하는 것을 공은 술사(術士)들의 망탄(妄誕)함을 힘써 진술하여 왕은 이에 좇았다. 공양왕 4년(1392)에는 말한 일이 임금의 뜻을 어겼다 하여 외처로 유배되었다. 조선조에 태조가 누차 벼슬을 내렸으나 배명하지 아니하고 한성으로 도읍을 옮김에 미쳐 임금이 굳이 공을 고도(故都)의 유후(留後)로 명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아 후임에 형조전서(刑曹典書)를 내렸지만, 또한 벼슬하지 아니하고 졸하시었다. 시호는 경질(景質)이니 의(義)로 말미암아서 제세(濟世)하니 경(景)이요, 명(名)과 실(實)이 어긋나지 않으니 질(質)이라 하다.

 

부친 경질공께서는 먼저 판서 남휘주(南輝珠)의 따님에 장가들어 종약(從約)을 낳아 목사(牧使)를 지내고 판서(判書)에 증직되었다. 후취 영평군(鈴平君) 윤척(尹陟)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5남 5녀를 낳아 종례(從禮)는 감찰이요, 종의(從義)는 첨추(僉樞)요, 종렴(從廉)은 도정(都正)이요, 종신(從信)은 경력(經歷)을 지내고 증 병조참판(兵曹參判)이요, 종검(從儉)은 참의(參議)이다.

 

3. 도정공파의 빛난 후손들

다만 한(恨)스러운 것은 문성공의 고손이신 8세 경질공(景質公) 휘 원(瑗) 선조께서 형조전서(刑曹典書)로 계실 때인 1392년 임신(壬申)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조정에서는 수차에 걸쳐 개경유후(開京留後)와 형조판서(刑曹判書)를 제수해 왔으나, 불배(不拜)하고 충절을 지키고 망국의 한을 달래며 여생을 보내셨다. 경질공의 4남이신 9세 도정공 파조 휘 종렴께서도 벼슬에는 별 뜻이 없어, 한직(閑職)인 통훈대부돈녕부 도정(都正)(正三品)으로 뜻을 접고 마셨다.

 

이러한 역사의 격랑(激浪) 속에서 우리 파의 종원들도 전국으로 흩어지게 되어 기록이 인멸(湮滅)되고 연락이 두절되어, 파조이하의 묘소를 찾지 못하여 부득이 1935년 겨울 파조이신 9세 도정공 휘 종렴(從廉), 10세 휘 숙(璹), 11세 휘 계종(繼宗), 12세 휘 린(璘) 선조의 4위(四位)분을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중소리 지손(支孫)의 종중산 기산(箕山)에 설단하고, 원모제(遠慕齊)와 기산단(箕山壇) 사적비(事蹟碑)를 세워, 매년 음력 10월 5일에 상주와 정읍의 지손들이 세사 봉행하여 오던 중, 2003년 가을 순흥의 시조사단 세사 봉행 시, 상주와 정읍의 지손회의(支孫會議)에서 우리의 염원이던 도정공 파보 간행사업 종원(宗員) 규합에 나서기로 결의하였다. 파보간행방법은 한글과 한자를 겸용하고 서기 연대(年代)로 기록하여 시대에 걸 맞는 문자로 파보간행을 추진하는 한편 종원 규합에 나선지 반년 만에 서산 태안의 장손 가와 영월, 대전의 1000여 종원 들을 찾아내어 파보간행사업에 참여하게 되어 비로소, 도정공파의 혈통이 체계화 되었고, 기반이 정착되었다 하겠으나, 아직도 선대의 기록에 남아 있는 많은 종원 들이 참여하지 못하였으니 후일(後日)을 기다려 보기로 한다.

 

2006년 병술(丙戌) 7월 31일, 상주(尙州)의 지손 종중산(宗中山)인 기산단에 모셔진 파조이하 4위(四位)분 선조님의 단소는,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덕송리 장손가(長孫家) 종중산인 청용산으로 이설단(移設壇)하여, 매년 음력 10월 5일, 서산, 상주, 정읍, 영월의 장?지손들이 합심하여 세사를 봉행하게 되었으니 이보다 더한 숭조목족(崇祖睦族)이 또 어디에 있겠는가!

 

지금은 갈 수 없는 휴전선 넘어 황해도 장단 배천 땅에 계시는 선조님들의 묘소 앞에 통일이 되는 그날 그동안 저질러온 우리 모두의 불경을 엎드려 용서를 비는 날이 오기를 기다린다.

 

(1) 안홍민(安弘敏)

공은 휘(諱) 홍민(弘敏)이며 자는 중보(中甫)로 시조공으로부터 20세손이시다. 5세는 휘 우기(于器)로 문과로 벼슬에 나가 광정대부(匡靖大夫) 검교첨의찬성사(檢校僉議贊成事)로 순평군(順平君)에 추봉되셨다. 9세에 이르러는 휘 종렴(從廉)으로 벼슬은 도정(都正)으로 곧 공이 도정공파의 파조이시다. 15세에 이르러서는 휘 희국(希國)으로 벼슬은 세마(洗馬)였다. 고려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빛나는 벼슬을 대대로 이어온 명문거족이다. 고조의 휘는 충(忠)이며 문과급제로 벼슬은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이요, 증조의 휘는 현록(賢祿)이며 벼슬은 군수요, 할아버지의 휘는 승화(承化)이며 증직이 판결사(判決事)요 아버지의 휘는 인일(仁逸)이며 증직이 예조참의(禮曹參議)요 부인은 남양홍씨(南陽洪氏)이시다. 공은 정사년 출생하여 벼슬은 증직이 참판(參判)이요 갑진년에 별세하시니 배위는 금성박씨(錦城朴氏)와 충주최씨(忠州崔氏)이시다.

 

묘소는 인천 다소면(多所面) 화동(禾洞)에 부조(父祖) 이하 계장(繼葬)하였으나 묘지가 있는 인천이 신설도시로 편입되는 바람에 부득이 기묘년 가을에 정읍군 입암면(笠岩面) 지선리(芝仙里)에 이장안치하려고 무덤을 파보니 판결사공과 참의공의 묘소에 유해(遺骸)가 없는 까닭으로 혼백을 위로하고 돌아와 경진년에 설단(設壇)하고 비를 세웠다. 공의 묘소는 배위와 더불어 묘소가 보전되어 삼위 합폄하였다. 1998(戊寅)년 이미 있던 석물이 오랜 세월에 마모되어 여러 후손들이 계획을 세우고 의견을 모아 추모의 정성을 다하여 지성으로 새로 석물을 세웠고, 병술년 공의 사적비를 세웠다.

 

4. 지파 세파의 입향 경위 및 현황

(1) 정읍(井邑) 세거지 정착 연혁

우리의 근조(近祖)이신 21세 통덕랑공 휘 극(?자께서는 인천부(仁川府) 다소면(多所面) 화동(禾洞)에서, 선조이신 20세 참판공 휘 홍민(弘敏) 선조님의 삼남중 막내로 1700년 출생하시어, 1717년 18세시 역병(疫病)으로 부모형제, 전 가족을 다 잃고 흥덕현감(興德縣監)으로 계시는 외숙 댁으로 찾아가 학문에 열중하던 중, 부안 줄포(茁浦) 오씨 집안 무남독녀와 결혼하신 후, 장자 기제(麒濟)한 분을 출산하시고 오씨 할머님은 산후 별세하시니, 줄포면 줄포리 서광암 서쪽에 안장(安葬)한 후(흥덕현 서일면 성신리)현 정읍시 입암면 왕심리(旺尋里) 광산김씨 집안으로 재혼 이주하시어 5남을 두시고, 1758년 무인 1월 19일에 별세하시어 입암면 마석리 피난동 선산(先山) 연자봉 임좌에 모셨다.

 

이후 현손이신 26세 가선대부 돈영부사 휘 영호(英鎬)께서는 1899년 기해에 피난동에 재실 영모재를 건립하시고, 1905년 을사에는 27세 휘 승용(承龍)의 배위이신 의성김씨 할머님의 열행(烈行)이 뛰어나 국가에서 정려(旌閭)를 하사하여, 정읍시 입암면 주곡리 142번지(왕심리)에 정려각을 건립하였다.

 

그 후 1909년 12월 2일 노환으로 별세하시니 문사(門事)는 26세 휘 연호께서 이어받으셨다. 1910년~1915년 일제가 전국의 토지조사를 실시하자, 휘 연호(練鎬)께서는 혼신의 노력을 다하여 인천선산을 문중의 소유로 확정하셨다. 1940년 경진에 인천선산이 인천부 광장으로 현 자유공원에 편입되어 부득이, 인천선산에 계시는 휘 극(?선조의 증조 휘 승화(承化), 조 휘 인일(仁逸), 부 휘 홍민(弘敏), 맏형 휘 구(?, 작은형 휘 이(履), 5위분을 정읍시 입암면 지선리 탑(塔)동 선산에 설단이장(設壇移葬)하고, 성신재(誠信齋)와 사적비를 세웠으며, 피난동 휘 극(?님의 묘역에도 사적비를 건립하고, 1972년 17세 휘 현록(賢祿)의 묘소를 실전하여 답동선산에 설단하여, 음력 3월 중정(中丁)에 세사 봉행하여 왔으나, 시대변천에 따라양력 4월 둘째 주일로 변경하여 세사봉행 하고 있다.

 

1998년 무인에는 답동선산 성역화 시 왕심문중 제족들이 합심하여 숭조목족비를 세웠으며, 2006년 윤 7월에 줄포에 계시는 군위오씨 할머님의 묘소를 휘 극할아버님 묘소로 삼합폄하기로 하고, 기존에 세웠던 사적비문을 수정하여 신건립비(新建立碑)하다.

 

우리 왕심(旺尋)부락 휘 현록 자손들은 숭조목족을 가훈으로 물려받은 조상님의 유지를 받들어 명문대가로 길이길이 이어갈 지어다.

 

 

mark.gif청룡산(靑龍山) 도정공파조(都正公派祖) 설단기(設壇記)

 

서산의 산세를 살펴보면 차령산맥이 뻗어내려와 충청북도를 거쳐 충청남도 서부의 제일 높은 산으로 높이 678m에 달하는 가야산을 기봉했으며 서산시와 홍성군 태안군의 모든산이 가야산에서 뻗어내려 이룩된 것이며 서산의 주산이기도 하다. 태안군의 백화산은 284m은 차령산맥의 서부 끝에 있는 명산이다. 117m의 부춘산은 서산시청 뒤에 우뚝 솟아 있는 산인데 가야산에서 내려온 서산의 주산이기도 하다.

 

신라시대에 부성현으로 최치원이 태수가 되어 직무하였던 곳이다. 부춘산에서 북쪽으로 뻗어가면 대산읍의 주산은 망월산으로 대한민국 공군의 레이다망이 설치되어 있는 명산이다. 부춘산 서부로 뻗어가면 팔봉면 어송리로 여기에서 두갈래로 갈리어 한줄기는 팔봉면 금학리에서 기봉하여 금광산이 되고 있는 높이 321m의 팔봉산을 이루고 있으며 다른 한줄기는 태안군 태안읍사무소와 태안 초등학교 뒤에서 기봉하여 높이 284m의 백화산을 이룬다. 차령산맥의 서부 끝에 있는 명산이 팔봉산과 백화산인 것이다.

 

팔봉산은 봉우리가 8개가 솟아 있어 팔봉산이라 칭하며 면의 명칭도 팔봉면이라 부른다. 금학천은 금학리에서 기류하여 팔봉산을 이룬 북쪽 6새 마을과 지곡 성연 2개 마을로 흘러내려 서해의 가로리만으로 흘러든다. 팔봉산은 전국 각지에서 탐방하러오는 등산객이 많아 충남서부의 명산이기도 하다. 팔봉면 덕송리 청룡산은 팔봉산에서 내려오는 조그만 구릉산이다. 팔봉면 서북부 6개 마을과 성연 지곡 2개 면에서 흘러 금학리 금학천으로 합류한 맑은 물은 청룡산 앞 서해가로만 바닷물과합류하여 조화를 이룬다.

 

팔봉산의 정기를 타고 자란 청룡이 맑은 금학천과 서해 가로리만 바닷물과 조화에 의하여 팔봉산 줄기인 청룡산을 타고 용이 하늘로 승천하였다고 하여 청룡산이라 한다.

 

고구려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는 전설이 덕송리 청룡산은 정기를 탄 명산이다.

 

청룡산에서 앞을 바라보면 팔봉산이 전면으로 우뚝 솟아보이고 옆 뒤가 서해 가로만 바다인 것이다. 풍수지리학자들도 청룡산의 자리가 정승장군 기지라 일컬어 오고 있다. 이조 6대왕 단종의 복위사건과 11대 종중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의 수난으로 순흥안씨 선조묘가 수많이 실전 되었다.

 

그동안 상주의 자손들이 추원단을 설치하고 매년 음력 10월 5일 제사단에서 제사를 올려오던 것을 장손인 서산 태안과 지손인 상주 정읍과 협의하여 장손이 서산 태안에서 순흥안씨 9세로 도정공파 파조이신 휘 종렴선조님을 비롯하여 10세 휘 숙 11세 휘 계종 12세 휘 린, 네분 선조님들의 세사단을 상주리 공검면 기산에서 탁본하여 모시고 궐사하여 온 13세 세환 14세 주 15세 신덕 16세 동삼 17세 무기 선조님들의 9분의 추원단을 설단하여 세사단을 설치하기로 합의하고 충청남도 서산시 팔봉면 덕송리 청룡산에 서산 태안의 장손들이 주축으로 추원단을 설치하기로 합의하여 설단을 하면서, 서산 태안의 입향 선조이신 18세 치량 선조의 산소를 개초하고 19세 종운, 20세 국나, 21세 충남 선조님들의 묘를 천묘하여 순흥안씨 도정공파 파조이신 휘 종렴 선조님을 비롯하여 21세 충남 선조님까지 13대가 서산시 팔봉면 덕송리 청룡산에 해좌형으로 안치하게 되었다. 고대로부터 명승지인 청룡산에서 매년 음력 10월 5일 세사를 봉행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