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예문관, 홍문관, 집현전에 제학, 대제학을 두어 종신직으로 되어있다. 대제학은 학문의 최고자리로서 타직을 겸임할 수가 있으며 이의 임명은 전임자가 추천을 하는데 학문과 도덕이 뛰어난데다가 그 가문에 결함이 없는 석학, 석유(碩儒)를 추천하면 삼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좌우찬성, 좌우참찬, 육조판서, 한성부윤이 참석하여 다수결로 결정하였다. 우리 순흥안씨는 17분의 대제학이 나왔다. 이중에서 5대를 내려 대제학을 하신 선조가족이 계신다. 3파조이신 휘 축(軸)의 아들 종원(宗源), 종원의 아들 경공(景恭), 경공의 아들 순(純), 순의 아들 숭선(崇善)이시다. 또한 축(軸), 보(輔), 집(輯)은 삼형제 모두가 대제학이시다.
NO |
문형(文衡) |
휘(諱) |
시호(諡號) |
세(世) 파(派) |
1 |
수문전태학사(修文殿太學士) |
향(向) |
문성공 |
4세 1파 |
2 |
예문관태학사(藝文館太學士) |
문개(文凱) |
문의공 |
5세 2파 |
3 |
진현관대제학(進賢冠大提學) |
목(牧) |
문숙공 |
6세 1파 |
4 |
우문관대제학(右文館大提學) |
축(軸) |
문정공 |
6세 3파 |
5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보(輔) |
문경공 |
6세 3파 |
6 |
보문관대제학(寶文館大提學) |
집(輯) |
|
6세 3파 |
7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원숭(元崇) |
문혜공 |
7세 1파 |
8 |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
종원(宗源) |
문간공 |
7세 3파 |
9 |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
경공(景恭) |
양도공 |
8세 3파 |
10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종약(從約) |
|
9세 1파 |
11 |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
노생(魯生) |
|
9세 1파 |
12 |
수문관대제학(修文館大提學) |
순(純) |
정숙공 |
9세 3파 |
13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구(玖) |
|
10세 1파 |
14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숭선(崇善) |
문숙공 |
10세 3파 |
15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지귀(知歸) |
|
11세 1파 |
16 |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 |
지(止) |
|
12세 1파 |
17 |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
종도(宗道) |
|
15세 1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