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수서원(백운동서원)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소재하고 있는 본 서원은 사액서원의 효시로 1542년(중종 37) 풍기군수 주세붕이 중국 백록동서원을 본떠서 백운동서원으로 창건하였다. 1543년에 안향 선생의 영정을 봉인하였으며, 1544년에는 문정공 안축(安軸)과 문경공 안보(安輔)를 추가로 배향하고, 1550년(명종 5)에는 풍기군수 이황이 사액을 임금께 주청하여 이해에 노비와 전결, 서적 및 소수서원이라는 서원의 현판을 하사받았다. 1633년에는 창건자인 주세붕을 추가로 배향하였는데, 대원군 때 대대적인 서원 훼철령에도 보존된 47개 서원과 사우의 하나이다. 1982년에 유물전시관을 건립하였으며, 국보 111호인 안향선생 영정과 보물 485호인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공자), 동717호인 주세붕 영정 등이 보관되어 있다.
매년 3월 상정일과 9월 상정일에 제사를 지낸다.
2) 합호서원(合湖書院)
충남 연기군 동면 합강리 소재로 1683년(숙종 9)에 창건되었다. 당초 영당(사진만 모시는 사당)으로 출발하였으나 1843년(헌종 9) 합호사로 개칭하였다가, 1868년(고종 5) 훼철되었다가 1927년 다시 복원하였다. 1950년 합호서원으로 가액하였다. 안향선생 한 분만을 모시며, 매년 음력 9월 12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다.
3) 도동서원(道東書院)
전남 곡성군 오곡면 오지리 소재로 1676년(숙종 2) 창건되었다. 당초는 오곡면 승법리에 창건되었다가 1887년(고종 24)에 훼철된 것을 동년에 현 위치에 재건했다. 현재는 회헌영당으로 편액되어 있다. 도문화재 자료 제29호로 지정되어 있다.
4) 임강서원(臨江書院)
경기도 장단군 북면 고량포리에 있던 서원이나, 1871년 훼철되고 위패는 서원자리에 묻었다. 안향과 이색, 김안국, 김정국 선생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650년 지방 유림들의 공의로 창건되었다. 1694년 임강이라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5) 곡성 회헌영당(谷城 晦軒影堂)
곡성군 오곡면 오지리 소재로 1676년(숙종 2) 창건되었다.
주자와 안향 두 분의 위패를 모시고 매년 음력 3월 15일과 9월15일에 제향을 지내고 있다.
6) 숭보사(崇報祠)
문성공 안향 선생이 집안의 노비를 면천(천민을 면하고 평민으로 복속시킴)시켜주자, 이에 면천된 성균관 노복들이 안향선생의 은덕을 보은하기 위하여 안향 선생이 돌아가신 후, 기일 성균관 동묘에서 1744년(영조 20)까지 제사하여 오다가 후에 단을 따로 설치하였다가 다시 사우를 건립하였으며, 안향 선생 외 11위를 추향하여 현재 유림들이 제사를 지내고 있다.
7) 모성사(慕聖祠)
청원군 동송읍 양지리에 1809년(순조 9) 순흥안씨 문중과 유림들에 의해 건립되었으나 6.25 동란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유지만 남아있다. 공부자와 주희, 안향과 안재 등 4위를 모시던 사당이다.
8) 안자묘(安子廟)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 월암3리(부곡)에 세워져 있는 안향을 제향하는 사당으로, 성균관 문묘 및 전국 235개 향교 대성전에 안향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매년 음력 2월, 8월 상정(上丁)일에 제향을 지내고 있다.
9) 만수사(萬壽祠)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에 1946년 안흥천에 의해 건립되었다. 안자를 주배향으로 죽성군, 흥녕군, 제학공, 주신재, 동애공을 배향하여, 매년 음 9월 12일(안자 기신제)에 제향을 올리며 전라남도 문화재 71호로 등록되어 있다.
10) 도통사(道統祠)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 7번지에 있으며, 공자를 주벽으로 주자와 안자(안향)선생 및 문하 9현인국재 권부(菊齋 權漙, 역동 우탁(易東 禹卓), 동암 이진(東庵 李瑱, 이재 백이정(彛齋 白頤?正), 매운당 이조년(梅雲堂 李兆年), 덕재 신천(德齋 辛蕆, 노당 추적(露堂 秋適), 근재 안축(謹齋 安軸), 경재 안보(敬齋 安輔)를 봉안하고, 매년 음력 9월 10일에 향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