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순흥안씨 시조사단(추원단) 시제 홀기(笏記) |
①諸子孫咸就壇所序立 ②在位者皆盥洗 ③外執事進蔬果匙楪及盞盤 ④內執事陳設
제자손함취단소서립 재위자개관세 외집사진소과시접급잔반 내집사진설
① 자손들은 모두 다함께 단소에 나아가 차례대로 서시오.
② 제사를 봉행하는 사람들은 모두 손을 씻으시오.
③ 외집사는 나물, 과일, 시접, 잔반을 젯상에 올리시오.
④ 내집사는 제물을 진설하시오.
①行降神禮
행강신례
① 신을 맞이하는 의식을 거행합니다.
②初獻官詣香案前跪焚香 ③俯伏興再拜復跪 ④執事一人跪初獻官之左進盞盤
초헌관예향안전궤분향 부복흥재배부궤 집사일인궤초헌관지좌진잔반
② 초헌관은 향안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시오.
③ 부복하고 일어나 두 번 절하고 다시 꿇어앉으시오.
④ 집사 1인은 초헌관 왼쪽에 꿇어앉아 헌관에게 술잔을 주시오.
⑤獻官受之 ⑥執注者跪初獻官之右斟酒 ➆獻官執盞盡傾于地 以盞盤授執事
헌관수지 집주자궤초헌관지우짐주 헌관집잔진경우지 이잔반수집사
⑤ 헌관은 술잔을 받으시오.
⑥ 술을 따르는 집사는 초헌관 오른쪽에 꿇어앉아 술을 따르시오.
⑦ 헌관은 술을 땅에 다 부은 다음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➇俯伏興再拜復位 ➈與在位者皆再拜參神
부복흥재배복위 여재위자개재배참신
⑧ 헌관은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두 번 절하고 자리로 돌아가시오.
⑨ 모든 제관들은 두 번 절하고 신을 맞이하시오.
①外執事進饌 ②內執事陳設
외집사진찬 내집사진설
① 외집사는 찬을 올리시오. ② 내집사는 진설하시오.
① 行初獻禮
행초헌례
① 초헌례를 거행합니다.
②初獻官詣神位前北向立 ③內執事奉考位盞盤授獻官 ④獻官受之神位前東向立
초헌관예신위전북향립 내집사봉고위잔반수헌관 헌관수지신위전동향立
② 초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③ 내집사는 할아버지 위의 술잔을 받들어 헌관에 주시오.
④ 헌관은 술잔을 받아 신위 앞에서 동쪽을 향하여 서시오.
⑤執注者西向斟酒 ⑥獻官奉盞北向立稱于神位前 ➆內執事受而奠于神位前
집주자서향짐주 헌관봉잔북향립칭우신위전 내집사수이전우신위전
⑤ 술을 따르는 집사는 서쪽을 향하고 술을 따르시오.
⑥ 헌관은 술잔을 받들고 북쪽을 향하여 신위 전에 들어 올리시오.
⑦ 내집사는 술잔을 받아서 신위 전에 올리시오.
➇次奉妣位盞盤亦如之
차봉비위잔반역여지
⑧ 다음은 할머니 위의 술잔을 받들어 할아버지 위처럼 하시오.
➈獻官跪 ➉內執事二人奉考妣位盞盤跪進于獻官 ⑪獻官受考位盞盤祭酒少傾于地
헌관궤 내집사이인봉고비위잔반궤진우헌관 헌관수고위잔반제주소경우지
⑨ 헌관은 꿇어앉으시오.
⑩ 내집사 2인은 할아버지,할머니 위의 술잔을 받들고 꿇어앉아 헌관에게 주시오.
⑪ 헌관은 할아버지 위의 술잔을 받아 제주를 땅에 조금 부으시오.
⑫復授執事者奠于神位前 ⑬次奉妣位盞盤亦如之
부수집사자전우신위전 차봉비위잔반역여지
⑫ 다시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 전에 올리시오.
⑬ 다음에는 할머니 위의 술잔을 받들어 할아버지 위처럼 하시오.
⑭啓飯蓋 ⑮獻官以下皆俯伏
개반개 헌관이하개부복
⑭ 밥그릇을 여시오. ⑮ 헌관이하 모두 부복하시오.
⑯祝就獻官之左東向讀祝 ⑰獻官以下皆興獻官獨再拜 ⑱獻官復位
축취헌관지좌동향독축 헌관이하개흥헌관독재배 헌관복위
⑯ 축관은 헌관의 좌측으로 나아가 동쪽을 향하여 꿇어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⑰ 헌관이하 모두 일어서고, 헌관만 두 번 절하시오. ⑱ 헌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⑲內執事以他器撤盞中酒 ⑳置盞故處
내집사이타기철잔중주 치잔고처
⑲ 내집사는 퇴줏그릇에 제주를 비우시오. ⑳술잔을 있던 자리에 놓으시오.
①行亞獻禮
행아헌례
① 아헌례를 거행합니다.
②亞獻官詣神位前北向立 ③奠酌祭酒拜興如初獻儀 ④獻官復位
아헌관예신위전북향립 전작제주배흥여초헌의 헌관복위
② 아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③ 제주를 올리고 절하고 일어나는 것을 초헌례처럼 하시오.
④ 헌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⑤內執事以他器撤盞中酒 ⑥置盞故處
내집사이타기철잔중주 치잔고처
⑤ 내집사는 퇴줏그릇에 제주를 비우시오 ⑥술잔을 있던 곳에 놓으십시오.
①行終獻禮
행종헌례
① 종헌례를 거행합니다.
②終獻官詣神位前北向立 ③奠酌祭酒拜興如亞獻儀 ④獻官復位
종헌관예신위전북향립 전작제주배흥여아헌의 헌관복위
② 아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③ 제주를 따라 올리고 절하고 일어나는 것을 아헌례처럼 하시오.
④ 헌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①行侑食禮
행유식례
① 유식례를 거행합니다.
②初獻官詣神位前北向立 ③執注者進酒注 ④獻官受之立于神位前
초헌관예신위전북향립 집주자진주주 헌관수지립우신위전
② 초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
③ 술을 따르는 집사는 주전자를 올리시오.
④ 헌관은 주전자를 받아 신위 앞에 서시오.
⑤內執事受之就添盞中酒皆滿 ⑥揷匙正箸 ⑦初獻官就香案前再拜復位
내집사수지취첨잔중주개만 삽시정저 초헌관취향안전재배복위
⑤ 내집사는 주전자를 받아 나아가서 모든 술잔에 가득하게 술을 더 따르시오.
⑥ 숟가락을 묏밥에 꽂고 젓가락을 바르게 하시오.
⑦ 초헌관은 향안 앞에 나아가 두 번 절하고 자리로 돌아가시오.
⑧在位者皆俯伏食傾 ⑨祝詣香案前作噫歆聲三 ⑩在位者皆興 ⑪內執事撤羹
재위자개부복식경 축예향안전작희흠성삼 재위자개흥 내집사철갱
⑧ 모든 참사들은 밥을 드시는 동안 부복하시오.
⑨ 축관은 향안 앞에 나아가 “어흠”하고 기척 소리를 세 번 내시오.
⑩ 참사자는 모두 일어나시오. ⑪ 내집사는 국그릇을 거두시오.
⑫外執事進熟水 ⑬內執事除飯三匙和于水 ⑭仍西柄正匙 ⑮少頃
외집사진숙수 내집사제반삼시화우수 잉서병정시 소경
⑫외집사는 숭늉을 올리시오. ⑬ 내집사는 밥을 세 술 떠서 물에 마시오.
⑭ 이어서 손잡이가 서쪽으로 하여 숟가락을 바르게 하시오.
⑮ 잠시 묵념하시오. 묵념. 바로.
①初獻官詣東階下西向立 ②祝就西階下東向告 利成
초헌관예동계하서향립 축취서계하동향고 이성
① 초헌관은 동쪽 계하로 나아가 서쪽을 향하여 서시오.
② 축관은 동쪽을 향하여 ‘이성’이라고 고하시오.
③獻官及祝復位 ④內執事落匙箸闔飯蓋復位 ⑤在位者皆再拜辭神
헌관급축복위 내집사낙시저합반개복위 재위자개재배사신
③ 헌관과 축관은 자리로 돌아가시오.
④ 내집사는 수저를 내려놓고 밥그릇 뚜껑을 닫고 자리로 돌아가시오.
⑤ 참사자는 모두 두 번 절하고 신을 배웅 하십시오
①祝揭祝文焚之 ②內執事皆入撤饌 ③禮畢
축게축문분지 내집사개입철찬 예필
① 축관은 축문을 들어 불사르시오. ② 내집사는 모두 들어가서 제수를 거두십시오. ③ 의식이 끝났습니다.
2. 시조위 축문(始祖位 祝文) |
維歲次00十月00朔初一日00後孫某等
유세차00시월00삭초일일00후손모등
敢昭告于
감소고우
때는 00년 0시월 00삭 초하루 00일에 후손 아무개 등은 감히 밝게 고하나이다.
顯初祖考高麗國興威衛保勝別將
현초조고고려국흥위위보승별장
시조 할아버지이신 고려국의 흥위위보승별장을 지내시고
追封神虎衛上護軍府君
추봉신호위상호군부군
顯初祖妣郡夫人之壇 伏以
현초조비군부인지단복이
신호위 상호군 부군에 추봉되신 상호군 부군과 시조 할머니이신 군부인의 단소 앞에 엎드려
報本追遠 子孫之職 寔用十月 歲薦泂酌 尙
보본추원 자손지직 식용시월 세천형작 상
饗
향
근본을 잊지않고 은혜에 보답하고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는것이 자손의 직분이기에, 시월을 맞이하여
정성들인 맑은 술로 제사를 올리오니 흠향하소서.
3. 산신위 축문(山神位 祝文) |
維歲次00十月00朔初一日00幼學順興安00
유세차00시월00삭초일일00유학순흥안00
때는 00년 시월 00삭 초하루 00일에 순흥안씨 00은
敢昭告于土地之神
감소고우토지지신
토지신께 밝게 고하나이다.
00恭修歲事 于
00공수세사 우
初祖考高麗國興威衛保勝別將追封神虎衛上護軍府君
초조고고려국흥위위보승별장추봉신호위상호군부군
初祖妣郡夫人之壇
초조비군부인지단
00등이 시조이신 고려국 흥위위 보승별장을 지내시고 신호위의 상호군 추봉되신 부군과
시조비이신 군부인의 단소에서 경건히 제사를 올립니다.
惟時保佑 實賴神休 敢以酒饌 敬伸奠獻 尙
유시보우 실뢰신휴 감이주찬 경신전헌 상
饗
향
오직 이 단소를 잘 보우하는 것이 실로 산신의 거룩한 보살핌에 의지하기에
감히 제물을 갖추어 경건히 올리옵니다. 흠향하소서.
교정: 승옥